간호 케이스스터디 노인 변비 간호과정입니다. 노인간호학 실습에서 볼 수 있는 케이스입니다. 요양병원에서 볼 수 있는 노인환자에게 내릴 수 있는 4가지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인 케이스스터디
노인 케이스스터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호사례, 환자정보, 간호진단, 간호과정 순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인 간호사례
노인 간호사례는 가상의 인물을 토대로 작성된 것입니다.
김 OO 님은 84세 여성이다. 약 50대부터 고혈압, 당뇨 있어 'ㅎ' 병원에서 약을 드셔 오던 분으로 2021.3월 혼자 집에서 지내시던 분으로 침대에서 떨어져 의식 잃고 쓰러져 계신 것이 발견되어 'ㅎ'병원 입원하게 되었다. BRAIN 쪽으로 별다른 이상 발견한 것은 없었다. 이후부터 보행 불가능 상태로 여러 병원 및 요양병원 입원과 전원을 반복해 오시던 중 2023.01.20. 급격한 전신 허약감 및 전반적 상태 악화로 대학병원에 입원하였다. APN by ESBL(+) E.coli Dx하에 ertapenen tX이후 (Urine Culture – providencia) 증상 호전되었으나 C.difficle(+)로 metronidazole(1/21~2/5) tX 후 요양병원 전원 위해 본원에 전원 되었다.
내원 후 V/S은 BP : 130/80mmHg, BT : 36.5, PR : 75회/분, RR : 18회/분, SPO2 : 94%이다. 다리에 힘이 없어 휠체어를 이용한다. 라운딩 시 대상자는 본원에 전원 된 2월 6일부터 현재(2/10)까지 대변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 대상자는 "배가 불편해.", "그냥 약 좀 줘"라고 호소하였다. 현재 기저귀 착용 중이며 하복부 촉진 시 단단하게 만져졌다
. 이전 대학병원 입원 당시에도 변비가 있었다고 하며 현재 주치의의 진단 하에 Dulcolax 좌약이 처방되었다.
노인 환자정보
이름 | 김OO | 나이 | 84Y |
성별 | F | 키/몸무게 | 149/52 |
주호소 | 전신 허약감, 변비 | 진단 | ① 관절통 ② 골다공증 ③ 하부요로 결석 ④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1, 2,3 단계 ⑤ 만성신장병(3기) ⑥ 당뇨병 ⑦ 고혈압 |
주보호자 | 딸 | 보호자 연락처 | 010-XXXX-XXXX |
수술력 | 20년 전 충수돌기염 수술. 10년 전 어깨수술. |
가족력 | 당뇨 |
신체사정 | 비뇨생시기-요실금 피부-욕창 소화기-변비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orea-Activities of Daily Living : K-ADL) | 16/21점 |
노인 간호진단
- 전신허약감과 전반적인 상태악화(보행불가)와 관련된 변비
- 하지움직임 제한과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
- 관절통과 관련된 안위장애
- 부동과 관련된 조직통합성장애
노인 간호과정
노인환자의 전신허약감과 전반적인 상태악화(보행불가)와 관련된 변비에 대한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배가 불편해."
· "그냥 약 좀 줘."
● 객관적 자료
· 대상자 나이 84세로 고령임.
· 주증상으로 전신 허약감을 호소하고 있음.
· 다리에 힘이 없어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음.
· K-ADL(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척도) 16점임.
· 현재 기저귀 착용 중임.
· 하복부 촉진 시 단단하게 만져짐.
· 6일부터 현재(10일)까지 4일간 대변을 보지 못함.
· 전 병원 입원 당시에도 변비가 있었다고 함.
· 주치의 진단 하에 Dulcolax 좌약 처방됨.
· 주로 침상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전신 허약감과 전반적인 상태악화(보행불가)와 관련된 변비입니다. 변비란 변이 매우 마르고 단단하여 배변의 어려움으로 배변 횟수가 감소한 상태를 말합니다.
간호목표
간호목표는 장기목표와 단기목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장기목표
· 입원 기간 동안 대상자는 주 2~3회 이상 규칙적으로 배변활동을 보이며 정상적인 변을 볼 것이다.
●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아침마다 배변을 시도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간병인과 패시브 운동, 복부근육운동, 복식호흡, 고파울러 체위를 계획한 시간에 따라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2일 이내에 대상자가 스스로 식사 후 복부 마사지를 시행하는 모습을 관찰할 것이다.
· 7일 이내에 대상자는 배변활동이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 간호수행 |
1. 배변 빈도와 지속성을 포함한 평상시의 배설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 1. 배변의 정상적인 빈도는 하루에 2번부터 3~4일에 1번으로 다양하다. 대상자마다 어떤 양상에 정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단하고 건조한 배설물은 변비의 특징이다. | 1-1. 배변의 빈도를 사정하였다. - 1주일에 0번에서 2번 1-2. 딱딱하고 건조한 대변을 확인하였다. 1-3. 이전 입원 경력에서도 변비 양상을 보였다. |
2. 대상자에게 매일 적절히 복부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적용한다. | 2-1. 복부마사지는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장운동을 촉진하며, 복부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복부 근육 긴장도가 증가됨에 따라 연동운동과 가스, 변 배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2-2. 시계방향으로 마사지하는 것은 결장방향을 따라 시행하는 것으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의 방향으로 장운동을 돕기 위함이다. |
2-1. 대상자에게 복부 마사지를 적용하였다. - 배꼽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듯이 부드럽게 문지르는 방식의 마사지를 적용하였다. 2-2.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복부마사지법을 교육하였다. 2-3.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매일 10분간 3회 복부마사지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
3. 대상자에게 적용한 가능한 활동을 적용하여 대변을 유도한다. | 3-1. 패시브 스트레칭은 일정 시간 동안 한 위치에 머무르는 스트레칭 유형으로, 파트너,액세서리 또는 소품이 신체에 외부 압력을 가하여 스트레칭을 하는 동안 신체를 강화 및 이완 할 수 있다. 3-2. 복부 운동은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복부근육을 강화시킨다. 3-3. 고파울러체위는 중력을 가장 잘 이용하고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
3-1. 대상자에게 다양한 변비 개선 활동을 적용 및 교육하였다. 1) 패시브 운동법 - 하루에 3번씩 20분 동안 → 햄스트링 운동법 1. 양쪽 다리를 펴고 파트너가 당신을 향한 상태에서 등을 대고 눕는다. 2. 왼쪽 다리를 들어 파트너의 어깨에 댄다. 3. 엉덩이와 허리를 바닥에 단단히 누른다. 4. 파트너가 다리를 몸통 쪽으로 천천히 누르도록 한다. 5. 이를 5 초 동안 유지한다. 6. 5 ~ 10 초 동안 휴식을 취한다. 7. 1 ~ 3 회 반복합니다. 8. 오른쪽 다리로 전환한다. 2) 복부근육운동법
- 손을 배꼽아래에 대고 배를 내밀고 들이 밀기를 반복하도록 교육하였다. 3) 복식호흡법
- '2)'와 같이 하루에 3번 10분씩 1. 한 손을 가슴에 놓고 다른 한 손을 배 위에 놓는다.
4) 고파울러 체위2. 코를 통해 천천히, 길게 숨을 들이쉰다. 3. 숨을 들이쉴 때, 배가 풍선처럼 전후 좌우 팽창되는 것을 손으로 느껴 본다.(흉곽도 올라가면 반복 연습을 통해서 가슴은 움직이지 않으면서 호흡해 본다.) 4. 숨을 내쉴 때, 오므린 입을 통해서 휘파람 불 듯이 천천히 길게 내쉰다. 5. 숨을 들이쉰 상태에서 3~5초간 숨을 멈췄다가 내쉬면, 복식호흡의 효과가 배가 된다. - 대상자에게 침상을 올려 앉아있도록 교육하였다. - 식후 1시간 동안 체위를 유지하였다. 3-2. 규칙적인 운동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일지를 쓰도록 하였다. |
4.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요법을 병행하도록 한다. | 4-1. 수분은 변을 촉촉하고 부드럽게 하여 원활한 배변을 도우므로 수분 섭취 부족은 변비의 주 원인이다. 노인의 경우 갈증을 느끼게 하는 감각이 저하되어 있어 수분 부족(탈수)이 쉽게 발생하므로 이러한 중재가 더욱 강조된다. 4-2. 규칙적인 유산균 섭취로 장내 유익균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익균은 장의 연동운동 촉진하며, 젖산을 만들어 장내 산도를 높이고 항균성 물질을 만들어 나쁜 균을 억제하므로 장의 건강을 유지한다. |
4-1. 의사의 지시에 따라 대상자의 질환을 고려하여 지정된 컵(200ml 용량)으로 하루에 7잔 이상 따뜻한 물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4-2. 대상자에게 오후 간식으로 OO병원 수제제작 요거트(당도 낮음)를 하루에 1개씩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
5. 대상자에게 변의가 없더라도 매일 일정한 시간, 주로 아침 식후에 배변을 시도하도록 한다. | 5. 위-결장반사(gastrocolic reflex)는 빈 위장에 음식이 들어갔을 때 장의 연동운동의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아침 식후에 위-결장반사가 가장 활발하여 배변 활동이 가장 원활하게 일어나며 이 시간에 매일 배변 시도를 하는 것은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형성하고 장 민감도 유지를 돕는다. 규칙적인 배변 습관은 노인에게 발생하기 쉬운 변실금과 같이 산발적인 배변 배출 또한 예방한다. 신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 화장실로 이동 시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 5-1. 대상자에게 규칙적인 배변시간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5-2. 대상자에게 아침 식후 마다 찾아가 배변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5-3. 대상자가 긴장을 풀고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재촉하지 않고 사생활을 보호해주었다. |
6. 의사 처방에 따라 약물을 처방한다. | 6. 완화제는 대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직장의 점막을 자극하는데 도움을 준다. | 6-1. 둘코락스 좌약 10mg을 투여하였다. 6-2. 투여 후 대변여부, 양상, 양, 복부불편감 등을 사정하였다. 6-3. 좌약 투여 후 대변을 본 이후 6-7일 동안의 대변 활동 여부를 관찰한다. |
참고문헌
패시브 스트레칭 : 정의 및 수행방법.
홍현화, & 구미옥. (2015). 시설노인의 변비에 대한 복부마사지 효과 검증.
노인간호학. 수문사.
킴스 온라인.
노인 변비로 인한 스트레스 및 영양상태가 변비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다면?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자기돌봄결핍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0) | 2023.02.02 |
---|---|
간호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치료불이행 간호과정 (2) | 2023.02.01 |
간호 케이스스터디 반월판연골손상 신체기동성장애 간호과정 (0) | 2023.01.28 |
간호 케이스스터디 가와사키병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 (4) | 2023.01.27 |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