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케이스스터디 가와사키병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입니다. 아동간호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인 가와사키병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7가지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와사키병 케이스스터디
가와사키병 케이스스터디는 간호사례, 환자정보, 간호진단, 간호과정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가와사키병간호사례
가와사키병간호사례는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강 OO 님은 5살 남아이다. 2주 전 기침이 심해 동네 아동병원에서 약을 타먹고 회복하였다. 그러나 5일 전 38℃이상의 고열 증상을 다시 보여 같은 병원에서 약을 타 먹였으나 증세가 호전되지 않았다. 이때 딸기혀 및 구강 발적, 입술 갈라짐, 피부발진이 추가로 관찰되어 2023년 1월 26일 오후 1시경 어머니와 함께 본원 ER로 내원하였다.
아이는 “몸이 뜨겁고 간지러워요”라고 울면서 말하였고, 어머니께서는 “2주 전에 감기에 걸렸었어요.” “감기가 안 떨어진 줄 알고 동네병원에서 약을 타서 먹었어요. 약을 먹어도 열이 안 내려가서 잠도 못 자고 밤에 계속 칭얼거려요.”, “땀도 많이 흘리고 어제부터 손이랑 팔을 긁어서 상처가 났어요.”라고 말하였다.
내원 당시 환아의 몸무게는 17kg, 키는 107cm였다. V/S 사정결과 BP : 120/70, PR : 120 BT : 38.5℃, RR : 30, SPO2 : 95%로 측정되었다. 내원 시 임상적 증상은 고열 및 결막 충혈, 딸기혀, 구강 발적, 입술 갈라짐이 관찰되었다. 추가로 아이가 손과 팔을 긁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진행한 혈액, 소변검사에서는 Hb : 10.3▼, Hct : 29.8▼, WBC : 13.8▲ 등이 나타났다. 심장초음파검사 결과 관상 동맥류가 관찰되어,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을 진단받아 입원하였다. 입원 후 의사의 처방에 따라 5% dextrose+Na, K 500ml, Immunoglobulin 32g, Aspirin 1600mg, Chlorpheniramine Maleate Injection Jeil을 처방받았다.
가와사키병 환자정보
이름 | 강OO | 나이 | 5Y |
성별 | M | 키/몸무게 | 107/17 |
주호소 | 고열, 수면장애, 소양증 | 주보호자 | 배우자 |
보호자 연락처 | 010-XXXX-XXXX | 수술력 | - |
입원력 | - | - | - |
가와사키병간호진단
- 고체온 및 소양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 입술 및 입안의 변화와 관련된 구강점막 통합성 손상
- 소양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의 위험성
- 전신 혈관 염증반응과 관련된 심장조직관류 감소위험성
가와사키병간호과정
가와사키병 대상자의 '고체온 및 소양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에 대한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몸이 뜨겁고 간지러워요."
· "2주 전에 감기에 걸렸어요."
· "감기가 안 떨어진 줄 알고 동네병원에서 약을 타서 먹였어요. 약을 먹어도 열이 안 내려가서 잠도 못 자고 밤에 계속 칭얼거려요."
· "땀도 많이 흘리고 어제부터 손이랑 팔을 긁어서 상처가 났어요."
● 객관적 자료
· 5일 전부터 고열 증상을 보임.
· 2023년 1월 26일 가와사키병 진단받음.
· 활력징후: BP 120/70, PR 120, BT 38.5℃, RR 30, SPO2 95%
· 혈액검사결과: Hb 10.3▼, Hct 29.8▼, WBC 13.8▲
· 입원 당시 고열 및 결막 충혈, 딸기혀, 구강 발적, 입술 갈라짐이 관찰됨.
· 손과 팔을 긁는 모습이 관찰됨.
· 밤에 잠들지 못하고 긁는 모습이 관찰됨.
· 5% dextrose+Na, K 500ml, Immunoglobulin 32g, Aspirin 1600mg, Chlorpheniramine Maleate Injection Jeil을 처방받음.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고체온 및 소양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입니다. 수면양상장애란 수면의 양과 질의 손상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입니다.
간호목표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안정적인 수면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통합성이 유지될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내에 체온이 37.5℃ 아래로 내려갈 것이다.
· 대상자는 2일 내에 더 이상 피부를 긁지 않을 것이다.
· 보호자는 2일 이내에 대상자가 수면의 양과 질이 올라갔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 간호수행 |
1. 대상자의 수면양상 및 장애요인을 사정한다. | 1. 명확한 병인적 요소를 아는 것은 적절한 치료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준다. | 1-1.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수면장애 요인을 물어보았다. [아이] "잠자기 불편하니?" "가렵고 뜨거워요." [보호자] "8~9시간 정도 자는데 몸도 가렵고 열 오르니까 계속 중간 중간 일어나서 칭얼거리고 땀도 계속 나니까 불편해 하더라고요." |
2. 대상자의 체온 및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 2-1. 확력징후 측정은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다. 이러한 활력징후의 변화는 곧 신체 기능의 변화를 나타낸다. 2-2. 가려움증은 피부통합선 장애를 초래하여 피부의 정상적인 장벽 기능을 감소시킨다. |
2-1. 대상자의 체온 및 피부상태를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023.1.26>
시간 - 체온(℃) - 피부 13:00 - 38.5℃ - 손과 팔이 붉음/ 긁는 모습 관찰됨. 17:00 - 37.8℃ - 손과 팔이 붉음/ 긁는 모습 관찰됨. 21:00 - 37.5℃ - 손과 팔이 붉음/ 긁는 모습 관찰됨. <2023.1.27> 1:00 - 37.9℃ - 손과 팔이 붉음/ 긁는 모습 관찰됨. 5:00 - 37.4℃ - 손과 팔이 붉음. 9:00 - 37.0℃ - 손과 팔이 붉음. |
3. 대상자에게 적절한 환의와 침구를 제공한다. | 3-1. 젖은 옷이 마르면서 몸의 체온을 갑자기 낮게 만들어 감기에 걸릴 수 있다. 3-2. 지나치게 두꺼운 옷은 벗기고 얇은 시트나 이불로 아동의 몸 을 덮어준다. 아동이 옷을 많이 입은 경우 개수를 줄이고 얇은 시트와 같은 것 으로 덮어주는 것은 아동을 더 편하게 만들며 너무 추워서 떨림 현상 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한다. 3-3. 영아는 머리를 통해 과도한 열을 소실하기 때문에 열이 날 때 모자 등으로 머리를 덮지 말아야 한다. |
3-1. 땀으로 젖은 환의와 침구는 즉시 교체하였다. 3-2. 대상자의 환의를 얇고 느슨한 옷으로 교체 해주었다. 3-3. 대상자에게 얇은 시트 혹은 이불을 덮어 주어 체온을 유지시켜 주었다. 3-4. 모직담요와 옷의 사용은 소양증에 좋지 않음을 교육하였다. 3-5. 모자 등으로 머리를 덮지 않을 것을 교육하였다. |
4. 대상자가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 4-1. 가와사키병 아동은 자주 기면상태에 빠지거나 짜증을 내기때문에 충분한 휴식과 나이에 맞는 조용한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4-2. 시원하고 어둡고, 조용한 환경이 숙면에 도움이 된다. 창문을 열거나 선충기를 사용하여 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차가운 공기는 떨림을 유발하고 체온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선풍기를 아동에게 직접 틀어 주는 것보다 멀리 틀어놓는 방법을 사용한다. 4-3.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혀줌으로써 불편함을 덜고 가려움증을 경감시켜준다. |
4-1. 어둡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어 대상자의 불편감을 줄여주었다. [취침 시] - 불필요한 조명 끄기 - 간호 활동 및 이동 최소화 - 병실의 문 닫기 4-2. 실내 온도는 24-26℃사이로 맞추었다. 4-3. 보호자에게 1시간에 1번씩 창문을 열어 환기를 권장하되, 선풍기 등 대상자가 직접적으로 찬 바람을 쐬지 않도록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선풍기를 틀 경우 멀리 틀어놓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4-4. 필요 시, 소음예방을 위해 간 호스테이션과 멀리 떨어져 있 는 병실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
5. 편안한 수면을 증진하기 위해 보호자에게 체온조절, 가려움 관리 및 수면증진 방법을 교육한다. | 5-1. 수건에 물을 적셔 닦아주거나 흐르는 물로 씻어주는 방법 역시 열이 나는 아동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5-2. 차가운 물로 스펀지 목욕이나 통목욕을 시키지 않는다. 피부를 차게 하면 떨림 현상이 유발될 것이고, 떨림은 오히려 체온을 상승 시키므로 금한다. 5-3. 취침 시 간호는 이완을 증진시키고 잠이 쉽게 들도록 한다. |
5-1. 고체온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아이의 옷을 벗겨 공기 중에 맨몸을 들어내고, 통풍과 환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내린 후 시원한 물수건을 이마에 대어 발열점을 낮춘다. - 미온수 마자지를 통해 피부를 닦으며 살살 문지르게 한다. 이는 체온을 하강시키고 순환을 통한 진정과 이완효과가 있다. 5-2. 차가운 물로 스펀지 목욕이나 통목욕을 시키지 않을 것을 교육하였다. 5-3. 적당량의 로션 또는 수분크림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야함을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5-4. 취침 전, 필요시 아이에게 등 마사지, 편안한 체위, 이완 요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6.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 6. 초기(급성기) 환자는 가와사키병의 진단 후 가능한 빨리 면역글로불린 다량 요법과 고용량의 아스피린 치료가 행해져야 한다. | 6-1. 의사의 처방에 따라 Aspirin 1600mg을 PO로 4분할 투여하였다. 6-2. 의사의 처방에 따라 Chlorpheniramine Maleate을 IV로 5mg을 투여하였다. |
참고문헌
김진선. (2016). 아동의 발열관리: 현황 및 과학적 근거. 아동간호학회지, 22(2), 126-136.
노다은, 권정은, & 김여향. (2020). 가와사키병의 진단과 치료.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63(7).
차승희, & 제남경. (2017). 국내 가와사키병 환아의 약물사용. 한국임상약학회지, 27(3), 127-135.
킴스온라인.
대한가와사키병학회.
서울대학교병원 N위학정보.
같이 보면 도움 되는 자료입니다.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치료불이행 간호과정 (2) | 2023.02.01 |
---|---|
간호 케이스스터디 노인 변비 간호과정 (0) | 2023.01.31 |
간호 케이스스터디 반월판연골손상 신체기동성장애 간호과정 (0) | 2023.01.28 |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0) | 2023.01.26 |
간호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 급성통증 간호과정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