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케이스스터디 반월판연골손상 신체기동성장애 간호과정입니다. 성인간호학 실습에서 볼 수 있는 케이스입니다. 반월판연골손상 환자에게 내릴 수 있는 3가지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월판연골손상 케이스스터디
반월판연골손상 케이스스터디는 간호사례, 환자정보, 간호진단, 간호과정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반월판연골손상 간호사례
반월판연골손상 간호사례는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20세 남성 박 OO 님은 취미로 농구, 축구를 즐기는 편이라고 한다. 토요일 중간고사가 끝나고 친구들과 축구를 하였다고 한다. 축구를 시작하고 전반전 시작이 얼마 지나지 않아 친구와 부딪히며 오른쪽 무릎에서 ‘딱’ 소리가 났다고 한다. 못 참을 정도의 통증이 아니었기 때문에 2시간 동안 축구를 계속했다고 한다. 다음날 오른쪽 무릎이 점점 부어오르고 통증이 느껴졌으며, 다리를 구부리며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 해지자 친구의 도움을 받아 ER로 내원하였다.
내원 후 V/S, 혈액검사 결과 이상 소견은 없었다. 무릎 촉지 시 압통을 호소하였고, 맥머레이(McMurray) 검사, 아프레이(Apley) 검사 시 운동범위가 제한되며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을 호소하였다. 반달 연골 손상이 의심되어 X-RAY와 MRI 촬영을 진행한 결과 ‘반월판 연골 파열’을 진단을 받아 2023년 1월 30일 관절경 하 재건술을 시행할 예정이다. 박 OO 씨는 "불편해서 화장실도 못 가겠어요.", "그냥 침대에만 있을래요."라고 호소하였고, 이동 시 통증을 느끼고 부축이 필요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반월판연골손상 환자정보
이름 | 박OO | 성별 | M |
키/몸무게 | 180/80 | 주호소 | 무릎 통증, 신체기동성장애 |
진단 | 반월판연골 파열 | 주보호자 | 친구 |
보호자 연락처 | 010-XXXX-XXXX | 수술력 | 2021년 2월경 appendectomy, 00종합병원 |
입원력 | 2021년 2월경 appendectomy으로 입원, 00병원 | - | - |
반월판연골손상 간호진단
- 손상 부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
-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 손상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반월판연골손상 간호과정
반월판연골손상 환자의 '손상 부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에 대한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불편해서 화장실도 못 가겠어요."
· "그냥 침대에만 있을래요."
● 객관적 자료
· 반월판연골 파열 진단받음.
· 오른쪽 무릎 부종 관찰됨.
· 운동성 검사 시 통증호소함.
· NRS 6점임.
· 옷을 갈아입을 때 어려움을 호소함.
· 화장실 이동 시 보호자의 부축을 받아 이동함.
· 손상부위 무릎 둘레 50cm(+7cm)
· 정상부위 무릎 둘레 43cm.
· 디클로페낙 2ml 1일 2회 IM 처방.
· 세파졸린 주 1g 1일 2회 IM 처방.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손상부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입니다. 신체기동성장애란 신체와 사지 일부를 독립적이고 의도대로 움직이는데 제한적인 것을 말합니다.
간호목표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어려움 없이 독립적으로 걷기를 수행할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4시간 이내 목발을 안정적으로 사용하여 거동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 대상자는 6시간 이내 NRS점수가 6점에서 3점으로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는 8시간 이내 손상 부위의 부종 감소(둘레 50cm에서 45cm로)를 확인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 간호수행 |
1.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 1-1. 기동성 장애를 파악하는 것은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 1-1. 기동성저해 요소를 사정하였다. 1-2. 통증을 사정하였다. 1-3. 부종으로 인한 무릎둘레를 측정하였다. 1-4. 관절 가동 범위를 사정하였다. |
2. 대상자에게 부목을 적용하여 손상부위를 고정시킨다. | 2-1. 부목을 고정함으로써 골절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을 피할 수 있고, 부종, 통증 완화와 지방 색전증, 쇼크 등을 예방할 수 있다. 2-2. 부목은 부종이 있는 관절을 휴식시킨다. |
2-1. 부목 적용의 이유와 기간을 설명하였다. "부목은 손상을 방지하고, 통증과 부종을 완화시켜줍니다. 약 일주일에서 2주일 정도 하셔야 합니다." |
3. 대상자에게 부종 완화 및 통증 경감을 위해 아이스팩을 적용한다. | 3-1. 아이스팩은 혈관수축을 야기하여 조직 혈류를 감소시키고 조직 대사, 산소 이용률, 염증 드리고 근육경련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증과 부종을 경감시키고 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 | 3-1. 아이스팩을 1~2시간에 1번씩 15분 정도 적용하였다. |
4. 대상자에게 적절한 사용법을 교육한다. | 4-1. 목발, 지팡이, 보행기는 대상자의 기동성을 돕기 위해 제공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기구는 손상된 기능을 보완하고, 활동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조 기구를 사용하는 목적은 안전과 기동성 향상, 막상 예방과 에너지 보전이다. 또한 손상부위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 4-1. 대상자에게 편측 목발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편측 목발 사용법은 목발을 사용해 발목, 무릎, 고관절을 다쳐 비체중부하 보행 또는 부분 체중 부하보행을 하는 경우 실시한다. 1) 아픈 다리의 반대쪽 다리에 목발을 댄다. 2) 그 다음 아픈 다리와 목발을 함께 내딛으며 체중을 지지한다. 3) 정상인 다리를 내딛어 몸의 균형을 맞춘다. |
5. 대상자에게 적절한 체위를 유지하도록 권장한다. | 5-1. 손상부위의 거상은 손상부위의 압력을 낮춰주어 붓기를 줄여준다. 5-2.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는 자세는 연골 손상을 악화시킨다. |
5-1. 손상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거상하는 체위는 권장하고 쪼그려 앉는 자세와 무릎 꿇기는 금지하였다. |
6. 대상자에게 필요한 경우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도록 교육한다. | 6-1.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불필요한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 6-1. CALL BELL 사용법을 교육한다. |
7. 대상자에게 침상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 7-1. 낙상 및 과도한 활동으로 인한 2차적 손상(출혈, 악화, 부종 등)을 예방하기 위해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 7-1. 침상 안정을 권장하였다. 7-2. 목발 등 필요한 물건이 손이 잘 닿는 가까운 위치에 두었다. 7-3. 바닥에 있는 보행 방해 물건을 제거하였다. 7-4. 침상난간을 유지하였다. 7-5. 미끄럼 방지 슬리퍼 착용을 권하였다. |
8.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 8-1. 진통제로 움직임을 지연시키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8-2. 항생제로 감염으로 인한 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 |
8-1. 디클로페낙 2ml를 1일 2회 IM으로 투여한다. 8-2. 세파졸린 주 1g을 1일 2회 IM으로 투여한다. |
참고문헌
대한 정형외과학회.
한양대학교병원.
Seo, M. J. (1995).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의 간호중재-간호과정적용 중심으로. 대한근관절건강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0-106.
같이 보면 도움 되는 자료입니다.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치료불이행 간호과정 (2) | 2023.02.01 |
---|---|
간호 케이스스터디 노인 변비 간호과정 (0) | 2023.01.31 |
간호 케이스스터디 가와사키병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 (4) | 2023.01.27 |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0) | 2023.01.26 |
간호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 급성통증 간호과정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