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은 직장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화학요법 중에 발생한 혹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가상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직장암 환자에게 내릴 수 있는 6가지 간호진단과 오심 간호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을 시나리오, 환자정보, 간호진단, 간호과정 순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시나리오
55세 남성 김 OO 님은 회사원으로, 업무시간의 대부분을 앉아서 생활한다. 그리고 김 OO 님은 육류와 술이 포함되어 있는 식사를 즐기고, 운동은 전혀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 때문에 변비도 자주 나타났고 대변을 볼 때 항문이 찢어져 피가 났다고 한다. 이로 1년 전 병원을 방문하여 치핵을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었다.
일주일 전부터 다시 배변 시 출혈을 보였으나 김 OO 님은 치핵으로 오해하고 식이를 조절하며 방치했다. 그러나 혈변은 지속되었고, 소화불량 및 체중감소 증상을 추가로 보이기 시작하여 2023년 1월 19일에 본원 대장항문외과를 방문하였다. 검사를 받은 결과, 직장암 3기(T2 N1 cM0) 진단을 받았다. 중간부 직장에서 암이 발견되어 2023년 1월 22일 복강경 괄약근간 절제술을 통해 암을 제거하였고, 항문의 기능을 유지한 상태이다.
김 OO 님은 수술 후 재발가능성이 높아 1월 27일부터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보조적 요법으로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한 지 2일이 경과되었을 때, 부작용 증세가 보이기 시작했다. 김 OO 님은 속이 울렁거려 식사를 거부하기도 하였고, "속이 너무 울렁거리네요. 밥을 못 먹겠어요.", "약 없나요?", "왜 이래요. 혹시 병이 악화된 건 아니죠?"라고 호소하였다. 다음날 소량의 아침 식사를 하던 중 헛구역질을 하며 구토를 하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찡그린 얼굴과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환자정보
이름 | 김OO | 성별 | M |
키/몸무게 | 175/84 | 주호소 | 오심 |
음주 | 유(7일에 1번/소주 1병) | 흡연 | 무 |
결혼여부 | 기혼 | 주보호자 | 배우자 |
보호자 연락처 | 010-XXXX-XXXX | 수술력 | - |
입원력 | - | 항응고제 복용 여부 | 무 |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간호진단
-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오심
-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 체액 부족으로 인한 어지러움증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 수술 후 보조적 치료법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 수술 후 보조적 치료법과 관련된 지식부족
- 질병과 관련된 불안
-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간호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오심 간호과정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속이 너무 울렁거리네요. 밥을 못 먹겠어요."
· "약 없나요?"
· "왜 이래요. 혹시 병이 악화된 건 아니죠?"
● 객관적 자료
· 1월 27일부터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보조적 요법으로 시행함.
· 1월 28일부터 점심, 저녁식사 거부함.
· 1월 29일 아침식사 후 헛구역질하며 구토하려는 모습 관찰됨.
· 찡그린 얼굴과 안절부절못하는 모습 관찰됨.
· 항암치료제 5-에프유 주 1000mg/20ml 사용 중임.
간호진단
●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오심
· 오심이란 목구멍(인두)과 위에서 느껴지는 불쾌감의 주관적인 현상으로 구토를 동반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간호목표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항암치료가 끝날 때까지 오심으로 인한 2차 합병증 없이 편안한 침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 안에 오심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 대상자는 2일 안에 정상적으로 식사가 가능할 것이다.
· 대상자는 2일 안에 오심으로 인해 얼굴을 찡그리지 않고 편안하게 침상생활을 할 것이다.
· 대상자는 교육 후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오심 완화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 간호수행 |
1. 대상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 1-1. 오심의 포괄적인 사정은 문제를 최소화 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중재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1-2. 오심은 수분 손실로 대상자의 수화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토와 자주 관련된다. |
1-1. 오심의 원인 및 빈도, 기간, 악화요인을 사정하였다. 1-2. 식사량과 I/O를 확인하였다. 1-3.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1-4. 체중 및 탈수 증세를 사정하였다. 1-5. 구토 여부를 사정하였다. |
2.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요법을 제공해 준다. | 2-1. 이러한 접근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일부 대상자의 경우 빈속은 오심을 악화시킨다. 2-2. 수술 혹은 화학요법 전의 충분한 수분공급은 오심의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2-1. 소화하기 쉬운 음식(죽, 바나나, 유동식 등) 으로 소량씩 자주 천천히 섭취하도록 하였다. 2-2. 차가운 물, 얼음조각, 실온의 죽, 맑은 스프 등 통해 수분 공급을 격려하였다. 2-3.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제공하였다. |
3. 대상자에게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 3-1. 공기 순환이 잘 되는 곳에서는 호흡이 용이하며 오심을 자극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강하고 유해한 냄새는 오심을 초래할 수 있다. 3-2. 오심은 구토와 자주 관련된다. 만약 오심이 심인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면 구토 그릇은 눈에는 안보이지만 손쉽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비치한다. |
3-1. 방에서 유해한 냄새를 제거하였다. 3-2. 환기를 자주 시켜 대상자가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하였다. 3-3. 적당한 온도(24-26℃) 에서 식사를 하도록 하였다. 3-4. 대상자의 손이 닿는 곳에 곡반을 배치하였다. |
4. 대상자에게 추가로 처방된 진토제를 투여한다. | 4-1. 구토나 오심을 완화하기 위해 복용하는 진토제는 주로 구토를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구토를 억제한다. | 4. 멕페란 정 5 mg을 tid, PO 8시간 간격으로 투여하였다. |
5. 대상자에게 오심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교육한다. | 5-1. 이러한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본인의 증상에 대해 잘 이해하고 치료의 과정임을 받아들여 스스로 적절히 대처 할 수 있도록 한다. | 5. 오심 및 구토는 항암제가 뇌의 중추신경계와 위장관 점막에 작용하여 항암 요법동안 발생 하는 주된 부작용으로 70~80%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임을 설명하였다. |
6. 대상자에게 오심 완화요법을 교육한다. | 6-1. 이러한 방법들은 대상자의 오심을 조정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오심이 생기거나 악화되기 전에 다른 오심조절 방법들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6-2. 암 환자의 오심구토에 적용한 중재는 지압, 마사지, 구강냉요법, 향기흡입요법, 심상요법, 근육이완요법 및 영양교육 등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 중재 중 마사지가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지압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
6-1. 매 2~4시간 구강청결을 격려하였다. 6-2. 얼음 조각을 입에 물고 있거나, 머리나 목에 차가운 수건을 얹도록 하였다. 6-3. 손마사지 혹은 발마사지를 적용하였다. 6-4. 오심 완화를 위한 지압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6-5. 오심이 느껴질 때 심호흡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6-6. 오심이 느껴지거나 식사 후 2시간 동안은 좌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6-7. 느슨하고 편안한 옷을 입도록 하였다. 6-8. 음악, 게임, TV, 명상, 요가 등을 이용하여 관심을 다른 곳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7. 대상자에게 오심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구토로 악화되면 의료진을 찾도록 교육한다. | 7-1. 대상자에게 오심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구토로 악화되면 의료진을 찾도록 교육한다. | 7-1. 대상자에게 오심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구토로 악화되면 의료진을 찾도록 교육하였다. |
참고문헌
· 오복자&유지현. (2011). 국내 암환자의 오심구토에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효과의 메타분석. 성인간호학회지 제, 23(4). 서울대학교 병원.
· 김재훈&오남건. (2004). 초저위 직장암에서 항문괄약근간 절제술. 대한대장항문학회지, 20(6).
· 최홍조. (2006). 직장암의 항문 괄약근 보존술. 대한소화기학회지, 47(4), 260-267.
같이 보면 좋은 자료입니다.
대장암 환자 수술 후 삶의 질
대장암 생존자의 암 발생 위치에 따른 배변 관련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논문을 요약한 것으로 대장암 환자의 증상을 이해하는데 도움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장암
for-sn.tistory.com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치료불이행 간호과정 (2) | 2023.02.01 |
---|---|
간호 케이스스터디 노인 변비 간호과정 (0) | 2023.01.31 |
간호 케이스스터디 반월판연골손상 신체기동성장애 간호과정 (0) | 2023.01.28 |
간호 케이스스터디 가와사키병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 (4) | 2023.01.27 |
간호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 급성통증 간호과정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