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요약

아동 간호 천식과 가와사키병 연관성 논문요약

랙누 2023. 1. 26. 23:10

아동 간호 천식과 가와사키병 연관성에 관한 논문요약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동에게서 발생률이 높은 두 가지 질환의 연관성을 대해 알아봄으로써 의료 및 간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alt="천식과 가와사키병의 연관성">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연관성

가와사키병은 전신성혈관염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열성질환으로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5세 이하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원인은 아직 불명확하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자가면역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환자에서 감염과 연관되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천식은 소아에서는 가장 흔한 만성질환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 소아에서 9%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 원인은 기도의 과민성을 특징으로 하며 Th2 염증반응과 연관된다.

 

천식과 가와사키병은 소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들로,  최근의 감염력, 어린 남아, 겨울 및 초봄에 호발 하는 계절성 등은 가와사키병의 역학적 위험 인자일 뿐만 아니라 천식에서도 중요한 인자들이며 두 질환 모두 면역조절이상과 관련된다.

 

연관성을 보인 보고들

대규모의 코호트 연구

대상: 가와사키병 환자 254명, 대조군 1,012명.

천식과 알레르기비염이 대조군에 비해 가와사키병군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대규모 환자 대조군 연구

대상: 가와사키병 환자 7,072명, 대조군 27,265명.

국가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되었으며 가와사키병과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천식, 두드러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가와사키병 환자군에서 천식과 비염이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다른 환자 대조군 연구

대상: 가와사키병 환자 296명, 짝지은 대조군 598명.

천식이나 알레르기로 1회 이상 입원하는 경우가 대조군보다 가와사키 군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1997년부터 2010년까지 대만의 국민 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한 연구

대상: 5세 미만인 가와사키병 환자 500명, 나이 성별을 짝지은 대조군 800명.

가와사키 군에서 천식과 알레르기비염이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60% 이상이 가와사키병 진단 이후에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하였고 두 질환 간의 발생 간격은 486일(중간값)이었다.

 

이스라엘에서 대규모의 단면연구

대상: 합병증이 없는 가와사키병군, 합병증을 동반한 가와사키병군, 대조군.

각 군에서 천식의 유병률은 11.4%, 8.1%, 3.5%로 합병증이 없는 가와사키병군과 합병증이 발생한 가와사키병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와사키병군에서 천식의 유병률이 높았다.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던 연구들

58명의 가와사키병 환자를 5년간 추적한 코호트 연구

가와사키병의 발생 이전에 천식의 진단을 받았던 9명의 5년 추적 후의 천식 유병률은 일반 소아 인구에서의 유병률과 유사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다른 연구

대상: 1996년부터 2008년까지 대만의 국가건강보험 연구 데이터베이스 자료의 10,656명과 무작위 대조군.

두드러기는 1.82, 알레르기비염은 1.44, 아토피피부염은 1.22의 오즈비를 보이며 가와사키병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천식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단면연구

대상: 건강한 형제자매를 가진 93명의 가와사키병 환자.

천식은 가와사키병군에서 14.0%, 대조군에서 8.6%를 보였으며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결막염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른 단면연구

대상: 103명의 가와사키병 환자와 대조군.

가와사키병 환자들은 발병 1개월 내의 감염력이 있었던 경우,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 학교나 어린이집을 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천식과 다른 알레르기질환은 두 군에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기존 연구의 제한점들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중 4개는 단면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에서는 인과관계의 확립에 제한이 있다.

연구 중 상당수는 ICD 코드에 의존하거나 설문지를 이용하여 가와사키병과 천식을 진단하였다. ICD 코드에 의존하는 것은, 표준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직접 차트 리뷰를 통해 진단하는 것보다 덜 정확할 수 있다. 또한, 보고된 연구들 중 1개에서 body mass index를 다른 한 개에서 알레르기질환의 가족력을 고려한 것 외에는 가능한 교란변수들이 분석되지 않았다.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연관성과 관련된 가능한 기전들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관련성을 뒷받침할 만한 면역유전학적 기전들은 아직 불명확하지만, 추정되는 기전들은 다음과 같다.

 

① 유전

Human leukocyte antigen-G (HLA-G)는 면역 조절 기능을 보이는 class I 항원이다. 이는 기관지 상피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촉진하고 조절 T세포의 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경증 천식에서 회복한 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에서 HLA-G가 증가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HLA-G 유전자 자리(rs2523790)는 가와사키병과의 관련성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관상동맥류를 동반한 환자에서 더 뚜렷하였다. 가와사키병에서는 조절 T세포의 기능 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가와사키병과 천식의 연관성에 HLA가 관여할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SMAD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수용체의 주된 신호 전달 단백으로, 세포 증식과 면역 조절에 매우 중요하다. TGF-β는 천식 환자에서 기도개형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가와사키병에서 T세포 활성화와 심혈관계의 리모델링에 중요하다. 또한, 단백의 발현이 가와사키병 환자의 두꺼워진 혈관에 침윤한 세포들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따라서 TGF-β는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연결고리 중 하나일 가능성이 의심된다.

 

② Th1/Th2 면역반응의 균형

천식과 알레르기질환은 Th2 면역반응이 우세한 경향을 보인다. Th1 및 Th2 면역반응의 불균형은 가와사키병에서도 보고된다. 가와사키병의 급성기 동안 혈중 IgE 농도의 증가가 보고되었다. 아급성기에는 interleukin (IL)-4, IL-5, eotaxin 등의 증가를 동반한 Th2가 우세한 면역 반응이 보고되었다. 급성기 후반에 CD23+ B세포 수의 증가와 혈중 IgE 농도의 증가를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B세포의 활성화와 IgE 매개 면역이 가와사키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 가와사키병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혈중 호산구 수를 보였으며 가와사키병으로 사망한 환자의 미세혈관 병변에서 호산구의 축적이 확인되었다.

 

③ Matrix metalloproteinases와 neutrophil elastas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단백분해효소의 하나로 25종 이상의 MMP가 존재한다. MMP 활성의 증가는 천식의 기도개형에서 염증의 전반적인 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여러 성장 인자와 염증 매개 물질(TGF-β,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TNF-α, IL-4) 들이 기도개형에 관여한다. MMP는 이런 성장 인자와 케모카인 등의 활성에 직접 영향을 주며 T세포, 호산구, 호중구 등의 이동에 관여한다. Neutrophil elastase (NE)는 serine 단백분해효소로 호중구의 항균 활성에 중요하다. 천식의 급성악화 시에 NE의 활성이 증가한다. 가와사키병의 염증 지표에 대한 연구에서는 가와사키병 환자에서 NE와 MMP의 분비 증가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NE와 MMP는 천식과 가와사키병 두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역할을 하며, 이는 두 질환의 연관성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발생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천식과 연관될 수 있는 다른 여러 감염과 염증 질환들에 대한 충분한 인식과 관심, 그리고 심도 있는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좀 더 연관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천식 환자에서, 천식과 연관될 수 있는 다른 질환들의 발생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주의 깊은 추적 관찰이 필요하겠다.

 

출처

최봉석. (2019). 천식과 가와사키병의 연관성.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7(4), 173-178.

 

같이 보면 도움 되는 자료입니다.

간호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 급성통증 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