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에서 발표한 급성췌장염 중증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논문을 요약한 것입니다.
급성췌장염 중증도 평가하는 기준
급성췌장염 초기 치료방침 결정에 중요한 중증도의 분류 방법 및 중증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영상검사, 임상지표 및 각종 중증도 판정 기준을 통한 중증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증도 평가의 필요성
15~20%의 급성췌장염 환자는 중증으로 진행하거나 합병증을 동반합니다. 경증과 중증 급성췌장염의 사망률은 각각 5% 미만과 36~50%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초기 급성췌장염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것은 이러한 예후 예측, 중환자실 입실, 상급병원으로의 전원 등의 치료방침 결정에 중요합니다. 따라서 중증도 평가는 진단 이후 바로 시행하고 이후에도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영상 검사를 통한 중증도 평가
· 조영증강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은 급성췌장염의 진단이 불확실하거나 췌장의 허혈, 괴사 및 병변의 범위 확인, 국소 합병증을 평가하는데 필요합니다.
· CT Severity Index는 CECT 영상을 이용한 급성췌장염의 중증도 평가를 위해 제시됩니다.
· 자기 공명영상은 췌관의 이상이나 담석의 유무 평가에 용이합니다.
임상 증상, 징후 및 임상 검사를 통한 중증도 평가
급성췌장염은 복부 합병증 및 주요 장기부전에 의해 광범위한 임상 증상 및 징후를 비특이적을 발현됩니다. 그러나 임상 증상 및 징후만을 이용한 중증도 평가는 재현성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 C반응단백질 수치는 급성췌장염 악화를 제시하는 믿을 만한 인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CRP는 급성췌장염 발생 후 48~72시간에 최대로 상승합니다.
· 진단 96시간 내의 높은 혈중 Procalcitonin의 농도는 췌장의 괴사를 판단하는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적혈구 용적률이 입원 후 24시간 이내에 감소되지 않는 경우 혹은 입원 시 44% 이상인 경우는 췌장의 괴사와 연관된 예측 인자로 제시됩니다.
· BUN 수치는 여러 연구에서 급성췌장염의 예후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중증도 판정 기준을 이용한 평가
Ranson 지표, Glasgow 지표, APACHE-ll 지표, BISAP 지표, SIRS 지표 등을 포함한 여러 중증도 판정 기준들의 정확도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모든 중증도 판정 기준들이 사망률, 중증 급성췌장염, 괴사성 췌장염의 예측에 있어 어느 정도 유용하며 우열을 가리기 어렵습니다.
전원기준
중증 급성췌장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대규모 병원의 치료 성적이 높게 보고되었습니다. 담석성 췌장염의 경우 내시경, 영상 중재 시술 및 수술 처치의 필요성이 높아 대규모 병원으로의 전원을 고려함이 필요합니다. 급성췌장염의 진단 시 중증 급성췌장염으로 판단될 경우 중환자실 입실을 권고합니다.
결론
본 임상진료지침을 통해 급성췌장염의 중증도 분류, 중증도 평가의 필요성, 영상 검사를 통한 증증도 평가, 임상 증상, 징후 및 임상 검사를 통한 중증도 평가, 중증도 판정 기준을 이용한 평가, 전원 기준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시합니다. 향후에는 인공지능 등 좀 더 진보된 방법을 통한 중증도 평가 및 예후 예측이 더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약
급성췌장염의 중등도는 장기부전 여부 및 지속 시간, 국소 합병증 여부를 고려하여 경증, 중등 중증, 중증으로 분류합니다. 급성췌장염은 중증도에 따라 사망률과 합병증 이환률에 큰 차이를 보이므로 초기 급성췌장염 환자의 중증도 평가는 예후 예측, 중환자실 입실, 전원 등의 치료 방침 결정을 위해 중요합니다. 급성췌장염 초기 중증도 평가를 위해 생체 징후를 통한 장기부전의 동반 여부 확인 및 영상/임상 검사를 통한 객관적 평가뿐만 아니라 BISAP, SIRS, APACHE-ll 지표 등 여러 중증도 판정 기준을 이용한 평가를 고려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조중현, 장동기, 이상협, 정민규, & 이동호. (2022). 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 급성췌장염 임상진료지침: 중증도 평가. 대한췌담도학회지, 27(1), 12-21.
다른 논문요약이 궁금하다면?
췌장암 수술 후 간호 논문요약
췌장암 수술 환자에게 적용한 껍씹기를 이용한 구강자극운동이 수술 후 환자의 위장관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한 논문을 요약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왜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는지
for-sn.tistory.com
'논문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변비로 인한 스트레스 및 영양상태가 변비에 미치는 영향 (0) | 2023.01.30 |
---|---|
전방십자인대 파열 자연치유 논문요약 (3) | 2023.01.27 |
아동 간호 천식과 가와사키병 연관성 논문요약 (2) | 2023.01.26 |
대장암 환자 수술 후 삶의 질 (0) | 2023.01.26 |
췌장암 수술 후 간호 논문요약 (6)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