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 쉽게 내리는 법
간호진단 쉽게 내리는 법을 3단계에 걸쳐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2단계는 대상자의 문제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3단계는 간호진단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1단계: 자료의 수집과 분석
간호사는 대상자의 모든 사정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과거력, 현재 복용 중인 약, 염증 수치, 낙상 기왕력, 보호자의 여부, 대상자 교육 수준, 검사 결과, 수술력, 입원력, 종교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정보들은 대체로 입원 정보 조사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간호사가 직접 관찰한 것과 질문을 통한 대상자의 반응도 포함합니다. 이것은 간호진단의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식부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린다면 대상자의 교육 수준이 단서가 될 수 있고, 고체온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린다면 염증 수치가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2단계: 대상자의 문제 발견하기
2단계는 대상자의 문제 발견 즉, 건강상태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부분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또한, 현재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위험가능성이 있는 건강문제를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낙상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고령의 환자가 입원했을 때 낙상위험성이라는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 단계의 핵심은 간호사가 예방할 수 있거나 감소시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유방암에 걸린 환자가 있다면 유방암 수술은 의사가 하는 것이지만, 유방암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 통증을 줄여주는 것, 수술 후 출혈을 예방하는 것, 수술 후 감염을 예방하는 것 등은 간호사가 발견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3단계: 간호진단 도출하기
1단계와 2단계를 모두 끝내셨다면 3단계는 쉽습니다. 1단계, 2단계를 합한 것 즉, '1단계와 관련된 2단계'라고 간호진단을 도출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1단계는 간호진단과 관련이 있는 요소여야 하고, 2단계는 발견된 문제를 NANADA-I에서 적절한 간호진단명을 찾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단계에서 유방암 수술에 대한 불안함을 드러내는 문제가 있었다면 1단계에서 대상자의 지식수준, 수술과정에 대한 두려움의 표현 등이란 단서와 연결하여 '수술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으로 간호진단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간호진단 쉽게 내리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단계인 자료 수집과 분석, 2단계인 대상자의 문제 발견하기, 3단계인 간호진단 도출하기 이 3가지를 기억하시고 사례를 통해 더욱 이해를 높이셨으면 좋겠습니다.
[케이스스터디] 대장암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대장암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대장암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간호사례/ 간호진단/ 간호과정 : 환자 정보 : 간호사정 ※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간호사례 ■ 시나리오 유OO님은 45세 여성이
for-sn.tistory.com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기록 작성법 및 예시 (0) | 2023.02.28 |
---|---|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목표 예시를 알아봅시다. (0) | 2023.02.28 |
간호사정 시 이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0) | 2023.02.28 |
간호과정 5단계 예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27 |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