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정 시 반드시 주의해야 할 한 가지를 뽑자면 질문입니다. 질문을 통해 수집되는 자료 즉, 환자의 대답에 따라 간호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개방성 질문과 폐쇄형 질문은 무엇인지와 각각 질문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방형 질문
질문은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히 설명하자면 '네' 혹은 '아니요'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폐쇄형 질문이고, 대답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는 것은 개방형 질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통증이 있으세요?'는 '네' 혹은 '아니요' 두 가지로 대답할 수 있기 때문에 폐쇄형 질문이 됩니다. 이를 '무슨 문제인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라고 바꾸면 개방형 질문이 됩니다. 간호사정에서는 이 두 가지 질문 형식이 모두 사용됩니다. 단,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겁니다. 응급상황과 같이 급박항 상황이 아니라면 처음에는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을 하는 것입니다.
개방형 질문의 장·단점
개방형 질문은 질문의 내용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답이 한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상자들은 말로 표현할 기회가 있기 때문입니다. 폐쇄형 질문보다 솔직한 응답을 이끌어 내는 경향이 있어 자료수집에 있어 유리합니다. 또한, 이러한 대화를 통해 대상자의 진정한 관심이 함축하는 바가 무엇인지, 욕구는 무엇인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방형 질문은 대답의 법위가 광범위하다보니 말에 두서가 없고 줄거리를 벗어나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응급상황과 같은 급박한 상황 속에서는 맞지 않습니다.
폐쇄형 질문의 장·단점
위에서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라는 말을 기억하고 계십니까? 이렇게 개방형 질문으로 이끌어낸 반응을 폐쇄형 질문으로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디가 불편하세요?'에 '옆구리요'라고 대답했다고 해봅시다. 좀 더 명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옆구리에 통증이 있으신건가요?'라고 폐쇄형 질문을 할 수 있다. 응급상황에서는 옆구리를 붙잡고 신음을 내는 환자에게 바로 폐쇄형 질문인 '옆구리에 통증이 있으신 건가요?'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면담 시 '고혈압이 있으신가요?' 등과 같이 특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폐쇄형 질문을 하게 되면 대상자가 위협적이라고 느낄 수 있고 주고받는 활발한 대화를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케이스스터디 간호사정 예시가 궁금하다면?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계획/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직장암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계획/간호과정
직장암 CASE STUDY 시나리오/ 환자정보/ 간호진단/ 간호과정 : 환자정보 : 간호사정 ※ 참고: 가상의 인물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작성한 것입니다. ▼ 시나리오 55세 남성 김OO님은 회사원으로, 업무시
for-sn.tistory.com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목표 예시를 알아봅시다. (0) | 2023.02.28 |
---|---|
간호진단 쉽게 내리는 법 (0) | 2023.02.28 |
간호과정 5단계 예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27 |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0) | 2023.02.08 |
[케이스스터디] 대장암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