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사회적 고립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랙누 2023. 2. 2. 14:00
조현병 사회적 고립 CASE STUDY
간호사례/ 간호진단/ 간호과정

※ 가상의 인물을 토대로 작성된 것입니다.

▼간호사례
■ 시나리오

이전글([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치료불이행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을 참고해주세요.

 

■ 환자정보

이전글([케이스스터디] 조현병 치료불이행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을 참고해주세요.

 

▼간호진단
  •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 불이행
  • 개인위생 동기 부족과 관련된 자기돌봄결핍
  • 대인관계 능력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간호과정
■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입원 전>

옆집에서 나는 "쿵쿵거리는 소리는 내게 조용히 있으라는 소리이다."
옆집 사람들이 나를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나를 감시하고 있으며 집에 침입하려고 한다.”

<입원 후>
나를 험담하는 것 같다.”
보호자(큰언니): 환자가 독립 후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다 보니 예민해졌다고 생각함.
어떻게 말을 시작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먼저 말을 걸어줘도 뭐라 대답해요...”
대화가 이렇게 어려운거였나...”
 
객관적 자료
<
입원 전>

반복되는 불안과 동료들과의 갈등으로 퇴사 후 집에서 홀로 지냄.
낮에도 커튼을 치고 생활함.

<
입원 후>

병실에서 누워만 있는 모습 관찰됨.
주의를 경계하는 모습 관찰됨.
다른 환자 혹은 다른 환자의 보호자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는 모습 관찰됨.
먼저 말을 걸거나 질문하는 일이 없고 의료진의 질문에도 주로 작은 목소리로 대답을 하며 눈을 마주치지 않는 모습 보임.
 

 

■ 간호진단
대인관계 능력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개인이 경험하는 외로움으로서 타인에 의한 것으로 인지하는 부정적, 위협적 상태, 자신이나 환경의 지지체계와 접촉이 결여된 상태.

 

■ 목표/ 기대되는 결과
단기 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로 사회적 고립감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대상자는
5일 이내로 대인관계기술에 대하여 2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로 1명 이상의 주변인에게 먼저 말을 거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1달 이내로 병실 환자 중 3명 이상과 10분 정도 대화를 할 것이다.


대상자는  휴게실에서 환자들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

 

 

■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0.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대상자와 신뢰관계 형성을 한다.


1.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신뢰감은 필수적이다.

 

1-1.
대상자에게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개방형 질문을 통해 대화를 시도해 보았다.

- “오늘 기분은 어떠세요?”
- “잠은 잘 주무셨나요?“

1-2.
대상자와 대화를 하는 동안 치료적 의사소통기술을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소극적 경청, 적극적 경청
- 공감하기

1-3.
대상자가 대답을 거부하거나 망설이는 경우 강요하지 않고 침묵기술을 이용하였다.

 

 

2. 대상자의 행동양상 및 사회적 고립의 요인을 사정한다.


2.
간호사는 개인적 판단을 피하는 태도로 대상자의 말에 경청하며 지지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

 

2-1.
대상자의 행동 양상을 관찰하였다.

- 주로 병실에서 누워서 생활하는 모습 관찰함
- 병실 주위를 걸을 때 눈치를 보며 주위를 경계하는 모습 관찰함
- 말하는 모습을 거의 관찰하지 못함.

2-2.
대상자와 대화를 통해 사회적 고립의 요인을 사정하였다.

- "쉼터에 있는 다른 환자분들한테 가보시겠어요?"라고 물었을 때, "뭐라 말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 할 말 없는데.."라며 타인과의 대화에 대한 어려움을 보임.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대인관계 유지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대상자와 보호자가 대인관계 유지의 중요성을 아는 것은 추후 교육과 환자의 대인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3-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사회는 함께 교류하며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교육하였다.


3-2.
사회는 서로 간의 상호작용이 필요함을 교육하였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대인관계기술을 교육한다.


4.
의사소통 및 언어적 표현의 교육은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1.
인사하기, 적당한 목소리 크기와 톤, 효과적인 의사소통, 부드럽게 의사 표현하기 등을 교육하였다.


4-2.
의료진에게 대상자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교육하였다.


4-3.
대인관계기술 중 공감하기에 대해 교육하였다. (생각 공감, 감정 공감)

 

 

5. 대상자에게 타인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도록 격려한다.


5.
대상자의 대인관계 형성 능력이나 의미 있는 관계 형성 능력은 자아 존중감을 발달시키는 데 긍정적인 지표로서 작용한다.

 

5-1.
대상자에게 의사소통기술(공감, 경청, 침묵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께 연습하였다.

- “먼저 말하기 힘드시면 침묵하거나 경청하셔도 돼요. 그것만으로도 상대방과 충분히 소통할 수 있습니다.”

5-2.
대상자에게 보호자 또는 간호사와 함께 10분 정도 짧은 대화를 이어가도록 계속해서 말을 걸어주었다.

- 대상자에게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수용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 “보통 어떤 주제의 이야기를 좋아하나요?”, “그 주제로 저와 대화해볼까요?”
- 앞서 연습한 대인관계기술을 적용하였다.

5-3.
간호사와 관계형성 이후, 대상자는 옆 침상환자와 함께 짧고 잦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5-4.
가족과의 친밀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단기 방문을 격려하였다.

 

 

6. 대상자에게 집단치료 프로그램 참여를 격려한다.


6-1.
집단 프로그램의 참여는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친밀감을 가지게 되어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6-2. 조현병 환자에게 집단음악치료를 시행한 경우 양성 및 음 성증상은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사회적 기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GAF 및 대인관계기능을 유의하게 호전시켰다.

6-1.
대상자에게 집단 프로그램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할 것을 권장하였다.

6-2. 대상자에게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권장하였다.

6-3.
참여를 두려워할 경우 간호사가 함께 참여하였다.

 

 

※ 참고문헌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이혜진, 이대보, 박민철, & 이상열. (2014). 집단음악치료가 통원치료 중인 조현병 환자의사회적 기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3, 4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