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간호대학생이 임상 안 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간호대생의 남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들의 진료유형이 임상 간호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간호사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들의 진로유형을 조사하고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유형 및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유형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 유형은 입학 시에는 병원 간호사(임상 간호사)가 77%였으나, 3, 4학년에서는 약 52%로 감소하였습니다. 여학생이 약 90%가 병원 간호사로 취업하고자 하는 비율보다 낮으며, 지역사회 간호사로 취업하고자 하는 비율 여학생보다 높았습니다.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변화에 대한 이유로는 1위가 임상실습 후 병원간호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2위가 다양한 간호진로정보를 알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진로변화는 임상실습 후 간호사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 간호대생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였습니다. 간호사 이미지 점수가 1 단위씩 증가할 때 병원 간호사를 희망하는 진로유형 또한 증가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는 대중매체나 사회전반적인 인식, 입원 또는 병원 방문 시 만난 간호사의 모습으로 형성하는 일반인과는 다르게 임상실습 현장에서 직접 만난 간호사의 모습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임상실습현장에서 간호사의 역할 모델은 학생들의 간호사 이미지에 긍정적이거나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남자 간호대학생들은 환자나 보호자를 위해 일하는 간호사를 발견했을 때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간호업무에 있어서는 비교적 덜 여성적인 분야인 정신과나 중환자실 등에서의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더 중시하는 특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볼 때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는 남자 간호대생과 임상현장에서 성공적인 역할모델 혹은 롤모델이 되는 남자간호사의 멘토링 제도가 필요할 것입니다.
'남자 간호대생이 임상 안 가는 이유' 해결방법
'남자 간호대생이 임상 안 가는 이유' 해결방법에는 위와 같음 멘토링제도를 통한 간호사 이미지 개선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 또한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간호사의 사회적 이미지 또한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 유형 중 병원 간호사에 대한 진로 선택에 중요항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의 사회적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전문간호사들의 병원 내 역할 확대와 병원의 정책이나 사회문제에 참여하여 사회적 인식을 증진해야 하며 이를 교과과정에 포함시켜야 할 것입니다. 또한 대한 간호협회 차원의 대중매체에 나타난 간호사와 관련된 내용을 여성 간호사 위주로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며 올바른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Jeong, K. S., & Ju, H. O. (2015). Career choice of male nursing studen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3), 177-184.
같이 보면 좋은 자료입니다.
'논문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실 간호사가 하는 일 (0) | 2023.03.15 |
---|---|
노인 변비로 인한 스트레스 및 영양상태가 변비에 미치는 영향 (0) | 2023.01.30 |
전방십자인대 파열 자연치유 논문요약 (3) | 2023.01.27 |
아동 간호 천식과 가와사키병 연관성 논문요약 (2) | 2023.01.26 |
대장암 환자 수술 후 삶의 질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