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 추간판탈출증환자 보행장애 간호과정

랙누 2023. 3. 6. 15:16

성인간호학 실습에서 볼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과정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내린 5가지 진단 중에서도 보행장애 간호과정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간판탈출증 환자 간호과정

먼저 간호사정에 포함되는 간호사례, 간호정보조사지, 임상검사결과 등에 대해 알아보고, 이 사례를 통해서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간판탈출증 환자 간호사정

● 간호사례

OOO님은 39세 남성이다. 대상자는 내원 3달 전부터 요통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1달 전쯤부터 오른쪽다리까지 저린 증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이로 인해 한의원을 다니며 침을 맞았다고 한다. 그러다 연초 종합검진에서 CT촬영 후 추간판탈출증을 진단받았다. 2월 28일 오른쪽 다리에 통증과 함께 감각이 잘 느껴지지 않아 응급실에 방문하였다. 마지막 소변을 본 지 8시간이 지난 상태였고, 배는 아프나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고 호소하였다. MRI 영상 확인 후  Foley catheter를 삽입하였고, 1,500cc 배출되었다. 대상자는 항응고약물인 Aspirin 복용 기왕력이 있는 환자이지만, 의사 판단 하 수술이 필요하다 하여 microsurgical lumbar discectomy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3월 6일부터 항응고제 다시 복용 시작하였으며, 금일 hemovac, PCA 제거하였다.

 

● 간호정보조사지

① 현병력

- 요통과 함께 오른쪽 다리의 감각 저하 및 통증 증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였고, 사정 결과 배뇨곤란으로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였으며 의사 판단 하 microsurgical lumbar discectomy를 시행하였습니다.

 ② 주호소

- 요통, 오른쪽 다리 통증 및 감각저하, 자가배뇨곤란을 호소하였습니다.

③ 과거력

- 2022년 급성 심근경색으로 OO병원에서 MI-stent insert시행하였습니다.

- 급성 심근경색으로 Aspirin, plavix를 복용 중입니다.

 ④ 활력징후

- BP: 130/100 mmHg, BT: 37.6℃, PR: 78회, RR: 20회입니다.

 ⑤ 신체적 정보

- 배뇨습관은 하루 평균 7회이나 현재는 자가배뇨 곤란으로 유치도뇨관을 삽입 중이다.

- 신경계: 골반 및 양쪽 서혜부의 감각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하며, 4번째와 5번째 발가락의 감각이 없다고 합니다.

- 근골격계: walker를 통해 보행 중이며, NRS 3점의 요통으로 걷는데 불편하다고 말하였습니다.

 ⑥ 진단명

- 마미증후군 진단받았습니다.

 

● 임상검사결과

- WBC가 15,00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추간판탈출증 간호진단

  • 요통, 감각저하와 관련된 보행장애
  • 감각운동장애와 관련된 배뇨장애
  •  치료요법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 불충분한 보행과 관련된 변비
  • 불안정한 보행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추간판탈출증 간호과정

'요통, 감각저하와 관련된 보행장애'의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움직이는 게 불편해요. 이 줄(수액 라인) 때문에 더 불편해요."

· " 발끝에는 감각이 좀 둔한 거 같아요."

· "엉덩이가 내 엉덩이가 아닌 거 같아요."

· "걷는 게 불편한데 걷기 운동을 어떻게 하나요."

· " 운동은 하루에 10번 이상은 하는 거 같고, 한번 할 때 복도 한 3바퀴는 도는 거 같아요."

 

● 객관적 자료

· 2월 28일 microsurgical lumbar discectomy 시행하였습니다.

· 마미증후군 진단받았습니다.

· NRS 3점입니다.

 

간호목표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걷는데 불편함이 없다고 말합니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수술 후 7일 이내에 한번 운동할 때 5바퀴를 돌 수 있습니다.

- 대상자는 수술 후 3주 이내에 walker를 사용하지 않고 보행할 수 있습니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하루 운동횟수를 사정한다. 1. 수술 후 지속적인 간단한 운동은 재발률을 감소시킨다. 1. 하루에 몇 회 복도를 왕복하는지 확인하였다.
2. walker 사용법을 교육한다. 2. walker를 잘못 사용할 경우 신체손상을 입을 수 있다. 2. walker 사용법을 확인하고, 잘못된 방법을 교정하였다.
3. walker를 이용하여 걸을 때 감각상태와 통증을 사정한다. 3-1. 지속적으로 감각변화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다.
3-2. 통증정도를 아는 것은 효과적인 통증관리 중재를 하도록 돕는다.
3. walker 이용 시 감각상태와 NRS를 이용하여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4. 환자 자신에게 수행되어지고 있는 의료행위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도록 돕는다. 4. 치료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대상자를 이해시키는 행위는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고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돕는다. 4-1. 활동이 자유롭도록 수액 라인에 extension 라인을 연결한다.
4-2. 환자와 자주 접촉하여 IV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4-3. 처치 후 수액라인을 잘 정리해주고 필요시 수액라인을 테이프를 이용하여 묶어 붙인다. 
5. 환자의 침상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5. 침상난간은 낙상위험을 감소시킨다. 5. 환자의 침상난간이 잘 올려져 있는지 매 근무 duty마다 확인하고,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6. 낙상위험성이 있음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6. 운동능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낙상 위험성이 증가한다. 6. 보행 시 불편함이 있으므로 낙상 위험성이 있음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7. 재활의학과와 협의하여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교육한다. 7. 수술 후 재활치료를 통해 재발률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신체기동 회복을 돕는다. 7. 재활의학과와 협의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 수술 후 7일째인 3월 7일 복도를 5바퀴를 돌 수 있으나, 여전히 walker를 사용 중입니다.

 

참고문헌

제2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Go, H. J. (1995). 척추간판 탈출증 환자 간호. The Korean Nurse, 34(2), 27-34.

 

다른 케이스스터디가 궁금하다면?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난소낭종 CASE STUDY 간호사례/ 간호진단/ 간호과정 : 환자정보 : 간호사정 ※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간호사례 ■ 시나리오 김OO님은 34세 여성이다. 2023년 1월 건강검진 시 난

for-s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