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간호대생을 위한 블로그 랙누입니다.
오늘은 뮤테란주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케이스스터디에 정리하는 방법 즉, 요약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뮤테란주사를 맞는 환자에게 어떻게 설명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뮤테란주사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목차
1. 효능효과
2. 용법용량
3. 주의사항
4. 요약정리
5.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뮤테란주사 효능효과
뮤테란의 효능은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쨰, 진하고 점도높은 가래를 수반하는 기관지 질환에서의 객담배출곤란 증상을 완화하는 진해거담제이다.
두 번째,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의 해독제이다.
세 번째, 조영제에 의한 신장독성을 예방하는 약물이다.
뮤테란주사 용법용량
● 10 %
① 점액의 용해
대상 | 용량 | 투여방법 | 비고 |
성인 | 1회 600 ~ 900 mg을1 일 2 ~ 3회 주사. |
IV | 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5 %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고 그 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
성인 | 1회 300 mg을 1일 1 ~ 2회 주사. |
IM | - |
소아 | 1회 300 ~ 450 mg을 1일 2 ~ 3회 주사. |
IV | 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5 %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고 그 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
소아 | 1회 150 mg을 1일 1 ~ 2회 주사. |
IM | - |
②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의 해독
1단계. 처음 15분간 체중 kg당 150 mg을 5 % 포도당 주사액 200 mL에 희석하여 점적정맥주사한다.
2단계. 체중 kg당 50 mg을 5 % 포도당 주사액 500 mL에 희석하여 4시간동안 점적정맥주사한다.
3단계. 체중 kg당 100 mg을 5 % 포도당 주사액 1,000 mL에 희석하여 16시간동안 점적정맥주사한다.
☞ 총 주입량은 체중 kg당 300 mg, 투여시간은 20시간 15분으로 한다.
☞ 해독작용은 1회요법으로 충분하고 환자의 체중에 따라 주입용액의 양을 조절한다.
● 15 %
① 점액의 용해
대상 | 용법 | 투여방법 | 비고 |
성인 | 1회 600 ~ 900 mg을 1일 2 ~ 3회 주사. |
IV | 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5 %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고 그 용액을 천천히 짧게 주입(약 5분 이상))한다. |
소아 | 1회 300 ~ 450 mg을 1일 2 ~ 3회 주사. |
IV | 생리식염 주사액 또 5 %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고 그 용액을 천천히 짧게 주입(약 5분 이상))한다. |
②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의 해독
1단계. 처음 15분간 체중 kg당 150 mg을 5 %포도당 주사액 200 mL에 희석하여 점적정맥주사한다.
2단계. 체중 kg당 50 mg을 5 % 포도당 주사액 500 mL에 희석하여 4시간동안 점적정맥주사한다.
3단계. 체중 kg당 100 mg을 5 %포도당 주사액 1,000 mL에 희석하여 16시간동안 점적정맥주사한다.
☞ 총 주입량은 체중 kg당 300 mg이고 투여시간은 20시간 15분이다.
☞ 해독작용은 1회 요법으로 충분하고 환자의 체중에 따라 주입용액의 양을 조절한다.
뮤테란주사 주의사항
경고
유리앰플주사제에 한해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하여 사용한다.
금기환자
뮤테란 또는 뮤테란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신중한 투여를 요하는 환자
① 기관지 천식, 호흡기능부전을 수반한 환자/ ②신생아 등 이와 같은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다.
① 기관지 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기관지 확장제 투여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② 중증 질환이 아닌 경우 신생아에 투여하지 않는다.
이상반응
1)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반응 : 드물게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이명, 기관지경련(특히 천식환자)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드물게 빈맥,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4) 해독제로서 다량을 정맥 내에 투여하는 경우, 때에 따라 과민반응과 유사한 증세를 보이며, 심각한 고혈압 증세를 유발시킨다. 그러한 환자들은 주의를 하여야 하며, 과민성 증세를 보이는 경우 즉시 투약을 중단한다.
5) 국내 자발적 유해사례 보고자료(1989 ~ 2013 상반기)를 분석한 결과, 유해사례가 보고된 다른 의약품에서 발생한 유해사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유해사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만, 이로서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유해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 호흡곤란
(2) 혈관부종
일반적 주의
1) 액화된 기관지 분비물이 증량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자연적인 객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기계적 흡인 또는 체위변환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근육주사시 깊숙이 주사한다.
3) 해독제로서 투여할 경우에는 가급적 중독 후 10시간 이내에 투여하도록 한다.
상호작용
아세틸시스테인의 반응기 때문에 아세틸시스테인이 에어로졸 혼합, 주입 등 특정물질과 직접 접촉을 하는 경우 물리화학적 상반의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에 대한 적절한 연구가 없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투여한다.
수유부에 대한 투여
뮤테란은 모유로 이행되는 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많은 약들이 모유로 이행되므로 수유부에 투여할 때는 신중히 투여한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뮤테란주사 요약정리
뮤테란을 투여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케이스스터디를 하는 간호대학생은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 CASE STUDY 투약 부분 >
약품 | 성인 표준 용량 | 효능효과 | 부작용 및 주의사항 |
뮤테란주사 | (10%) 1회 600 ~ 900 mg을1일 2 ~ 3회 IV투여. | 진해거담제. 해독제. |
구역, 구토, 두드러기, 두통, 기관지경련 등. |
뮤테란주사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신규간호사 혹은 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은 뮤테란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할 수 있다.
OOO님, 가래 배출되는 약 달아드릴게요.
속이 울렁거리거나 두드러기 등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간호사에게 알려 주세요.
* 검사 전, 후로 뮤테란을 투여할 때.
OOO님, 이제 곧 검사받으시러 갈겁니다.
검사할 때 조영제라는 약물이 들어가는데, 그 약물로 부터 신장을 보호하는 약 드릴게요.
OOO님, 검사 받고 오셨나요?
신장보호하는 약 드릴게요. 조영제 배출 잘 되도록 물 많이 마셔주세요.
* 가래가 묽어졌지만 배출이 잘 되지 않을 때.
환자: (의사소통이 불가함.)
간병인: 가래검사통에 가래를 못 뱉어내는데 어떻하나요?
아까 약으로 가래는 묽어졌는데 못 뱉어내시는 거예요?
그럼 suction해서 가래 좀 뽑아낼게요.
'의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피트주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10 |
---|---|
맥페란주사액2ml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09 |
파세타주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08 |
데노간주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07 |
케토신주사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