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

간호 케이스스터디 감염위험성 간호과정

랙누 2023. 3. 11. 16:03

지난 글의 백혈병 환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감염위험성 간호과정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호사례, 간호정보조사지, 임상검사결과 등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간호 케이스스터디 백혈병환자 급성통증 간호과정

 

간호 케이스스터디 백혈병환자 급성통증 간호과정

노인간호학에서 볼 수 있는 백혈병환자를 대상으로 간호과정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5가지 간호진단과 급성통증에 대한 간호과정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백혈병환자 간호과정 먼저 간호

for-sn.tistory.com

 

백혈병 환자 감염 위험성 간호과정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에 대한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주사부위가 잘 부어요."

· "주사부위가 아파요."

· "또다시 주사 놓아야 하나요?"

 

● 객관적 자료

· 입원당일 WBC 수치가 19,000/㎣로 증가함.

· Peripheral line으로 Rt.arm에 약물 주입 중임.

·백혈병 진단받음.

· 75세 고령자임.

· 주사부위에 열감이 느껴짐.

 

간호목표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 위험요인에 대해 인지한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원을 피한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 위험요인을 피한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정상범위의 백혈구 수를 유지한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맥주사 부위에 감염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대상자와 관련된 처치 전·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침습적 처치 시 무균법을 지킨다. 1-1. 손씻기는 감염의 전파경로를 차단한다.

1-2. 1차 방어기전인 피부가 손상되면 균이 침투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한다.
1-1. 대상자와 관련된 처지 전·후로 손씨기를 시행하였다.

1-2. IV 처치 시 무균적으로 다루었다.
2. 감염증상을 사정한다. 2-1. 감염 시 체온, 맥박, 호흡이 상승된다.

2-2. 백혈구 수치를 통해 감염 여부와 골수억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1. 매 4시간마다 확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체온이 38.3℃ 이상하거나 오한이 있는 경우 보고하도록 하였다.

2-2. 정맥천자 부위의 피부상태와 감염징후인 부종, 발적, 통증, 압통 여부 등을 확인하였다.

2-3. 매일 백혈구 수치를 확인하였다.
3.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맥 주사 부위를 관리한다. 3-1. 감염 후의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이다.

3-2. 노출을 감소시키는 것은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3-1. 수액세트를 72시간마다 교체하였다.

3-2. 정맥주사 부위를 2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4. 감염예방을 위해 감염원을 교육한다. 4. 감염원을 아는 것은 예방에 도움이 된다. 4-1. 면회인을 제한하고 그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4-2. 생화, 꽃병, 과일, 생야채 등이 감염원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금하였다.

4-3.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고 생야채는 익혀서 먹도록 교육하였다.
5.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5. 구강은 세균의 성장을 위한 좋은 매개체이다. 5-1. 매 4시간마다 구강간호를 시행하였다.

5-2. 구강점막의 외상을 예방하도록 함수제나 부드러운 칫솔로 양치하게 하였다.
6.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6-1. 백혈병은 면역억제 질환이므로 면역력 증가가 필요하다.

6-2. 수분섭취와 고단백식이는 감염에 대항할 수 있게 해준다.

6-3. 환자는 백혈구 증식으로 기초대사율이 증가되어 만성적으로 피로를 느낀다.
6-1.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먹도록 교육하였다.

6-2. 하루 최소 8시간 정도 수면을 충분히 취하도록 권장하였다.

6-3. 휴식과 함께 피곤하지 않을 정도의 운동을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입원 5일째 WBC 수치가 6,000/㎣으로 확인하였다.

● 대상자의 정맥주사 부위에는 감염증상이 없었다.

● 대상자는 발열, 부종, 발적 등 감염의 징후와 구강점막의 감염징후가 없었다.

 

참고문헌

제2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