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간호대생을 위한 블로그 랙누입니다.오늘은 유한폰탈정500m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외형정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고 케이스스터디에 정리하는 방법 즉, 요약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유한폰탈정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를 클릭하시면 필요한 부분, 원하는 부분으로 이동가능 하오니 바쁜 현대사회에 조금이나마 시간절약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유한폰탈정500mg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유한폰탈정500mg 외형정보
유한폰탈정500mg은 메페남산 500mg 성분으로 되어져 있다. 외형적 특징을 보면 하얀색 장방형에 앞에는 YH, 뒤에는 PT로 되어있다. '유한폰탈'을 영어로 하면 Yuhan Pontal이다. 외우기 정말 쉽다. Yu/ Han/ Pon/ Tal의 앞자만 따서 외우면 된다.
유한폰탈정500mg 효능효과
유한폰탈정은 다음과 같은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
두통, 치통, 요통, 골관절염(퇴행성관절질환), 외상후ㆍ수술후ㆍ분만후 염증 및 동통, 부비동염등에 수반하는 동통, 월경통 등에 사용하는 즉, 진통제이다.
유한폰탈정500mg 용법용량
유한폰탈정의 용법용량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확한 용량과 투여방법을 알아야 투약오류를 줄일 수 있다.
대상 | 용법용량 | 투여방법 | 비고 |
성인 | 초회량 500mg 투여 후 6시간마다 250mg 투여한다. | PO | 공복시의 투여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령, 증상, 질환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
유한폰탈정500mg 주의사항
★경고
● 심혈관계 위험: 유한폰탈정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중대한 심혈관계 혈전 반응,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위장관계 위험: 유한폰탈정을 투여하는 동안 위장관계 궤양 또는 출혈의 증상 및 징후에 대하여 신중히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금기환자
● 소화성궤양 환자
● 심한 혈액이상 환자
● 심한 간장애 환자
● 심한 신장애 환자
●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 심한 고혈압 환자
● 유한퐅탈정에 의하여 설사를 일으킨 환자
●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환자
● 임신말기의 부인 등
★신중한 투여를 요하는 환자
● 소화성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 고령자, 소아 등
★이상반응
● 혈액: 드물게 자기면역성 용혈성빈혈, 과립구감소 및 혈소판감소성 자반, 헤마토크리트치의 감소, 백혈구감소, 호산구감소, 범혈구감소, 골수형성장애 등의 혈액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하는 등 관찰을 충분히 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한다.
●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드물게 발적,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과민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드물게 쇽이 나타날 수 있다.
● 감각기계 : 때때로 시야혼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간장 : 드물게 황달, GOT, GPT의 상승 등의 간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 신장 :드물게 유두의 괴사를 포함한 급성 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핍뇨, 혈뇨, 요단백, BUN,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 고칼륨혈증 등의 검사소견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 소화기계 : 때때로 토혈, 설사 드물게 소화성궤양, 대장염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 정신신경계 : 때때로 졸음, 현기, 신경질 드물게 두통, 시야몽롱, 불면증,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있다.
● 피부 : 두드러기, 발적, 안면부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발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한다.
● 기타 : 드물게 발열, 부종, 눈의 자극, 귀의 동통, 발한, 경한, 간독성,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요구의 증가, 심계항진, 호흡곤란, 시각의 가역적인 상실이 나타날 수 있다.
★상호작용
●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병용투여할 경우 이상반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 ACE 저해제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의해 ACE 저해제의 항고혈압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 아스피린 : 중증의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발생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임부에 대한 투여
● 임신 말기에 이 약을 투여 시 태아의 동맥관을 조기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이 약은 임부에게 투여를 피해야 하며, 특히 임신말기에는 투여해서는 안된다.
● 임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투여한다.
★수유부에 대한 투여
유한폰탈정은 모유로의 이행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영아에서 심각한 이상반응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수유부에 대한 약물 투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수유를 중단하거나 약물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소아에 대한 투여
● 인플루엔자에 수반하는 발열에 투여하지 않는다.
● 어린이에는 필요한 최소량으로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반응의 발현에 특히 유의한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 고령자는 이상반응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소량부터 투여를 시작하고 필요한 최소량으로 투여하며, 이상반응의 발현에 특히 유의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 고령자에게 장기 투여 시 자기면역성 용혈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이상이 인정되면 투여를 중지한다.
★적용상의 주의
식도에 정류시 붕괴하여 식도 궤양이 우려되므로 다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며 취침 전 복용에 주의한다.
유한폰탈정500mg 요약정리
유한폰탈정을 복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케이스스터디를 작성하는 간호대학생은 이렇게 정리 할 수 있다.
약품 | 투여방법 | 효능효과 | 부작용 및 주의사항 |
유한폰탈정500mg | 초회량 500mg 투여 후 6시간마다 250mg PO로 투여한다. | 진통제 | 과립구 감소, 발진, 두드러기, 두통, 급성 신부전, 설사 등 |
유한폰탈정500mg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신규간호사 혹은 실습 중인 간호대생은 유한폰탈정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이렇게 설명 할 수 있다.
OOO님, 진통제고요.
두드러기라던가 설사를 한다던가 하면 간호사에게 말씀해 주세요.
유한폰탈정500mg을 복용 후에도 통증을 계속 호소하는 환자에게 이렇게 대처할 수 있다.
아까 약 드셨어요? 거기 진통제가 들어있거든요.
그거랑 똑같은 약을 하나 더 드릴 수는 없고요. 선생님께 말씀드려서 다른 진통제 드릴게요.
(NOTI)
3병동입니다. 노티 좀 해도 될까요?
304호실 OOO님, 식후 약에 유한폰탈정 복용 후에도 계속해서 진통제를 원하시고 계시고,
바이탈은 흔들리는거 없었습니다.
'의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티피드시럽(90ml)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18 |
---|---|
록소드펜정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17 |
알레그라정 180mg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16 |
씨잘정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13 |
코싹엘정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