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알레그라정 180mg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랙누 2023. 2. 16. 01:48

안녕하세요. 간호대생을 위한 블로그 랙누입니다.

오늘은 알레그라정 180m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형정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고,

케이스스터디에 정리하는 방법과 환자에게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레그라정 180mg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1. 외형정보

2. 효능효과

3. 용법용량

4. 주의사항

5. 요약정리

6.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알레그라정 180mg 외형정보

출처: 의약품 사전

약의 외형정보를 알아야 환자가 알맞은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알레그라는 펙소페나딘염산염 180mg으로 된 약이다.  알레그라정의 외형정보를 보면 분홍색 장방형과 숫자가 눈에 띈다. 알레그라정 이것만 기억하자. 분홍색 018.

 

 

 



알레그라정 180mg 효능효과

알레르기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단어 알레그라정은 알레르기 피부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는 즉, 항히스타민제이다.

 

 

 



알레그라정 180mg 용법용량

알레그라정 180mg의 용법용량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간호사는 용법용량을 정확히 알고 있음으로써 투약오류를 줄여야 한다.

대상 용법용량 투여방법 비고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 1일 1회 식사전 투여. PO 식사전 물과 함께 복용한다.
신부전 환자 시작용량으로 1일 1회 60mg 식사전 투여. PO 식사전 물과 함께 복용한다. 
12세 미만 어린이 환자 - -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았다.

 

 

 



알레그라정 180mg 주의사항

★금기환자
알레그라정 및 알레그라정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환자와 신부전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신중한 투여를 요하는 환자
고령자와 심혈관질환 환자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다.

★이상반응
● 두통, 졸음, 어지러움, 구역, 상기도감염, 요통 등의 이상반응이 보고되고 있다.
●피로, 불면증, 신경과민증, 수면장애, 악몽(paroniria), 구갈이 발생하였고, 드물게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및 과민반응들(혈관부종, 흉부조임감, 호흡곤란, 피부홍조, 전신과민반응)이 보고되고 있다.
● 쇼크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여 호흡곤란, 혈압저하, 혈관부종, 가슴통증, 홍조 등의 과민증상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AST, ALT, γ-GTP, ALP, LDH 상승 등의 간기능장애, 황달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투약을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 아래 이상반응은 성인의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것으로 위약군에서 나타난 반응과 유사하였다.
 (1) 신경계 : 자주 두통, 어지러움
 (2) 소화기계 : 자주 구역
 (3) 전신 : 때때로 피로
● 다음의 이상반응은 성인의 시판후 조사에서 보고된 반응이다. 발현빈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1) 면역계 : 혈관부종, 가슴이 답답함, 호흡곤란, 홍조 및 전신 아나필락시스
(2) 정신계 : 불면, 신경과민, 수면장애 또는 악몽
(3) 심혈관계 : 빈맥, 심계항진
(4) 소화기계 : 설사
(5) 피부 및 부속기관 : 발적, 두드러기, 가려움

★일반적 주의
● 알레그라정의 반감기와 생체이용율이 증가되는 것에 기초하여, 신부전(경증~중증) 성인 환자에는 시작 용량으로서 1일 1회 60 mg을 권장하며, 신장 기능이 감소된 환자에게 1회 180 mg 용량을 투여하지 않는다.
● 알레그라정이 운전 또는 기계조작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는 없다. 그러나 약물에 대한 이상 반응을 나타내는 민감한 사람의 경우 운전이나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사전에 체크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작용
● 알레그라정의 주성분인 펙소페나딘은 테르페나딘의 생체내 대사물로서 간장에서 대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간대사를 통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은 없다.
● 케토코나졸이나 에리트로마이신과 병용투여하면 이 약의 혈중농도가 2~3배는 상승되나, 이 변화는 신전도상의 QT 간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 약을 단독 투여할 경우와 비교해도 이상반응 발생이 증가하지 않는다.
● 동물 실험에서 케토코나졸이나 에리트로마이신과 병용 투여 후 이 약의 혈중농도가 상승되었는데, 이는 위장관내 흡수증가와 담즙 배설 감소 또는 위장관 분비감소에 의한 것이다.
● 제산제 : 오메프라졸과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을 함유한 제산제를 이 약 투여 15분 전에 투여하면 생체이용률이 감소되는데 이는 제산제 성분이 위장관에 부착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을 함유한 제산제와는 2시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이 약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과일주스 : 자몽주스, 오렌지 및 사과주스와 같은 과일주스는 생체이용률과 노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약의 본래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이 약을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 이 약을 투여한 경험이 없으므로 다른 약물과 마찬가지로 임신 기간에 치료의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 수유중인 여성에 이 약을 투여할 경우 수유를 피해야 한다. 테르페나딘을 수유부에게 투여하였을 때 펙소페나딘이 모유로 이행된다고 보고되었다.
● 테르페나딘을 150 mg/kg 경구로 랫트에 투여했을때(펙소페나딘염산염의 AUC 비교에 근거한 성인 최대 용량의 3배) 용량 의존적으로 태자의 체중 감소와 생존률 감소가 관찰되었다.

★소아에 대한 투여
저체중신생아, 신생아, 12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알레그라정은 신장에 의해 주로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신부전환자의 경우 이 약에 대한 독성반응의 위험성이 높을 수 있으며, 고령자의 경우 신기능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약물 용량선정시 주의가 필요하며 신기능을 모니터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알레르겐 피내반응을 억제하므로 알레르겐 피내반응검사를 실시할 경우 시험실시 3~5일전 이 약의 복용을 중지한다.

★과량 투여시의 처치
알레그라정의 과량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은 보고되지 않았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기타
● 개에게 이 약을 6개월간 1일 2회 450 mg/kg을 투여한 경우, 간혹 구토를 일으키는 것 이외의 다른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시한 이 약의 랫트 조직 분포연구에서 이 약은 혈액-뇌관문(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험관 및 동물 체내 시험에서 어떠한 유전독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 테르페나딘의 발암성시험 및 연관된 약물동력학 시험으로 미루어 이 약의 발암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알레그라정 180mg 요약정리

알레그라정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케이스스터디를 작성하는 간호대생은 이렇게 정리 할 수 있다.

약품 투여방법 효능효과 부작용 및 주의사항
알레그라정 1일 1회 식사전 PO로 투여한다. 항히스타민제 두통, 졸음, 어지러움, 구역, 상기도감염, 요통 등.

 

 

 



알레그라정 180mg 환자에게 설명은 이렇게!

신규간호사 혹은 실습 중인 간호대생은 알레그라정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이렇게 설명 할 수 있다.

 

OOO님, 이건 식전 약이고요.
알레르기 생기셨다 해서 처방된 약이에요.
머리가 아프다던가 속이 울렁거린다던가 하는 이상반응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알려주세요.

 

조금더 친절한 간호사가 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설명을 해 줄 수도 있다.

과일주스는 이 약이 100% 몸에 흡수되지 못하게 해요.
반드시 물과 함께 복용해 주세요.